제로페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파격적인 세제혜택 등 정부의 광범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로페이는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고 QR코드 방식의 간편결제 서비스로 다음달 중순부터 시범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연태훈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8일 '제로페이를 활용한 가맹점 결제수수료 부담 완화' 보고서에서 "제로페이 이용 시 4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소득의 25% 이상을 결제해야 공제 혜택이 돌아간다"며 "소득의 25%라는 최소 사용금액 기준을 없애고 사용금액 전체에 대해 세액공제를 해주거나 기존의 비현금 결제수단에 대한 조세 지원 범위를 축소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득이 낮은 가구는 세액공제가 큰 혜택이 되지 않으므로 차라리 공제액을 전통시장 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그는 보고서에서 제로페이의 낮은 수수료는 가맹점 입장에서는 좋지만 이용자 입장에서 유인은 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공공시설 결제시 할인 혜택 제공, 포인트 적립, 쿠폰 제공 등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연회비나 수수료 수입이 없는 간편결제 수단에 파격적인 할인, 적립 등 부가서비스 제공을 기대할 순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특히 신용카드 혜택과 비교할 때 제로페이는 아주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신용카드는 추가적 비용없이 1개월을 넘어서는 지연결제가 가능하다. 또 별도의 비용없이 할부 구매를 하거나 리볼빙 서비스를 통해 유연한 결제도 할 수 있다. 이밖에 수수료와 연회비, 각종 이자를 통한 수익으로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할인, 포인트 적립 등 부가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간편결제 사업자와 은행 등 공급업체가 수수료 수입 없이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구조도 문제로 지목됐다.
 

연 선임연구위원은 "신용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자 편익을 감안할 때 제로페이가 신용카드 시장의 시장 지배력을 넘어 의미있는 수준의 결제수단 대체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며 "정부가 파격적인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