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서울시

서울시는 강남·북 간 상업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2030년까지 상업지역 192만㎡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서울광장 145개 규모다.

현재 서울시 상업지역 총 면적은 2527만㎡로 서울 전체 면적의 4.2%에 해당한다. 서울 도심권(809만㎡)과 강남4구가 몰려 있는 동남권(595만㎡)은 상업 지역 총 면적은 1404만㎡로 전체의 절반 수준을 넘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시 유보물량을 제외한 상업 지역 배분물량(134만㎡)을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 위주로 지정할 계획이다.

강남권에 비해 인구와 일자리, 복합 업무시설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강북지역에 업무·상업시설 늘어나면 개발호재로 유동 인구가 증가하게 되고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구 등이 속한 동북권 지역에서는 1인당 상업지역 면적 비율(상업지역을 전체 인구로 나눈 비율)이 1.05%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53지구 중심을 신규 지정해 중심지 체계를 완성하고, 5개 대 생활권역과 116개 지역단위 소생활권으로 나눠서 관리한다.

상업지역 지정 절차는 자치구에서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해 시에 요청하면 시가 중심지계획·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검토 후 결정한다.

서울시는 또 상업 지역 내 개발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30%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완화하고, 주거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하기로 했다.

이번에 서울시가 마련한 도시 균형 발전 계획에 따라 노후주택이나 소규모 공장 등 준공업지역이 많아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곳이 신경제 및 주거 중

심지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대표적인 곳은 동북권에서는 도봉구 창동·노원구 상계동 등이 속한다. 서남권역에서는 △금천구 독산·시흥동 △구로구 구로동 △동작구 상도·신대방동 △강서구 화곡·등촌동 등이 있으며 서북권 지역에서는 은평구 응암·남가좌동, 서대문구 홍제동 등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