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의 뒤안길에는 환경오염 등 갖가지 문제가 남습니다. 무분별한 제품 생산은 되레 쓰레기만을 양산하기도 합니다. 쓸데없는 생산을 줄이고 생산 단계부터 환경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면서 가장 똑똑한 투자입니다. 자투리경제는 친환경과 재활용의 가치 실현을 위해 [가장 똑똑한 투자 '친환경'] 시리즈를 진행합니다. <편집자 주> 

숲속 자연과 공장 굴뚝 연기. 이 대비되는 사진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공존하는 조화로운 삶을 추구해야 하는지, 아니면 다른 것을 침탈하고 나만의 가치만을 추구해야 하는 것인지. [사진=픽사베이]

과거 환경미화 수준에 그쳤던 기업들의 친환경 움직임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경제성장이 최우선시 되던 시절, 어깨띠를 두르고 쓰레기줍기를 대대적(?)으로 하던 때가 있었다. 사람 조차 먹고 살고 바쁜데 무슨 환경이냐며 환경보호는 시간 많고 할 일 없는 사람들이나 하는 일이라고 깎아내리기도 했다.

하지만 경제성장 과정에서 환경 및 오염문제가 끊임없이 대두됐고, 결국 모든 것이 인간에게 되돌아온다는 진리를 깨닫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많은 것을 대량 생산하고 남은 것은 버린다는 식에서 이제는 필요한 것만 생산해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자는 쪽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또 제품 생산과정에서부터 재활용률을 높이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비닐과 플라스틱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쪽으로 변화되고 있다.

환경 전문가들은 제품 기획 단계부터 환경을 생각하면서 쓰레기를 줄이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꾸 바꾸라고, 새로 사라고 소비를 조장하는 문화에서 오래, 잘 쓰는 소비패턴 형태로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켓컬리는 새벽배송에 사용되는 전 포장재를 100% 재활용 가능한 종이로 바꿨다. 냉장 박스는 물론 냉동 스티로폼 박스까지 모두 종이로 변경했다. 소비자는 주문 상품의 포장을 뜯은 후 포장재를 문 앞에 내놓기만 하면 된다. 남겨진 포장재는 다음 주문 시 마켓컬리가 회수한다.

SSG닷컴의 '알비백'은 재사용 에코백으로 별도의 박스 포장이 필요없다. 이용자가 알비백을 사용 후 현관 앞에 내놓으면 다음 주문 시 배송기사가 제품을 그 안에 담아둔다.

SSG닷컴의 '알비백’(오른쪽)과 마켓컬리 '포장 박스' 

국내 스타트업 ‘이너보틀’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기존 화장품 용기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실리콘 내부 용기와 플라스틱 외부 용기를 사용한다.

안랩은 포장을 줄이거나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해 쓰레기를 줄이려는 제로웨이스트(zero-waste) 운동과 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업사이클링(up-cycling: 새활용)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다 쓴 화장품 공병을 매장에서 회수해 리사이클링에 적극 활용하는 ‘그린 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있다. 또 제품을 생산하며 발생하는 다양한 부산물들도 창의적으로 재활용하는 업사이클링을 통해 자연과 공존하려는 친환경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너보틀의 실리콘 소재 탄성 파우치 이너셀을 넣은 용기(왼쪽). 아모레퍼시픽의 ‘그린 사이클’ 캠페인

트럭 방수포로 가방을 만드는 스위스의 프라이탁, ‘이 재킷을 사지 마세요’라는 광고로 알려진 미국의 파타고니아 등도 대표적인 새활용 기업이다.

국내에서도 새활용 사례가 늘고 있다. ‘모어댄’은 폐자동차에서 나온 가죽시트로 가방을 만든다. 큐클리프는 폐우산을 비롯해 지하철 광고판, 현수막 등으로 가방·지갑·파우치 등을 만든다.

새활용플라자내 새활용 상점
서울새활용플라자내 '새활용 상점'
서울새활용플라자내 ‘소재은행’
서울새활용플라자내 ‘소재은행’

2017년 9월 문을 연 새활용 복합문화공간인 ‘새활용플라자’에는 현수막·커피자루·우유팩·목재 등 폐기물을 이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40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방문체험이 어려워지자 새활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DIY 키트를 사고, 새활용 클래스 영상을 볼 수 있는 플랫폼을 올 하반기에 열 예정이다.

새활용 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업들도 자사 제품을 고쳐 쓰는 게 의미 있고, 우리 회사가 이런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하고 소비자들도 이에 호응해 그 제품을 선택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

특히 단순한 새활용 제품에서 벗어나 디자인과 가격 경쟁력까지 갖추는 노력이 병행돼야 진정한 가치의 새활용 문화가 정착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