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과반(51.1%)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유연근무제를 지속·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유연근무제를 축소하겠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 7.8%의 6.6배 수준이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과반(51.1%)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유연근무제를 지속·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유연근무제를 축소하겠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 7.8%의 6.6배 수준이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확대한 대기업의 10개사 중 약 6개사(56.7%)는 유연근무제 시행이 업무효율 및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과반(51.1%)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유연근무제를 지속·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근로형태 및 노동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 4개사 중 3개사(75.0%)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근무제를 신규도입 또는 확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유연근무제 보완·확대 45.8% ▲유연근무제 신규 도입 29.2%로 나타났다. 현재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는 않지만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 비중도 10.0%로 조사됐으며, 도입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 비중은 15.0%에 불과했다.
 
대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는 ▲재택·원격근무제(26.7%) ▲시차출퇴근제(19.0%) ▲탄력적 근로시간제(18.3%) ▲선택적 근로시간제(15.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8.1%) ▲시간선택제(6.2%) 순이었다.

대기업들은 코로나19가 초래할 가장 큰 노동·고용환경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의 다변화(39.1%)를 꼽았다. 
대기업들은 코로나19가 초래할 가장 큰 노동·고용환경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의 다변화(39.1%)를 꼽았다. 

대기업들은 코로나19가 초래할 가장 큰 노동·고용환경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의 다변화(39.1%)를 꼽았다. 이어 ▲산업구조 디지털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25.1%) ▲다양한 근로형태를 규율하는 노동법제 개편(18.4%) ▲근로형태 변화에 따른 평가·보상체계 개선(13.4%) 순으로 응답했다.  

대기업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노사관계 변화 방향으로‘협력적 노사관계 강화(44.6%)’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다양한 근로형태를 대변하는 근로자대표체계 구축(26.6%) ▲대기업·정규직·유(有)노조 부문에 편중된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12.2%) 노사 불법행위에 대한 법치주의 질서 확립(4.3%) 순으로 응답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기업들이 요구하는 정책적 지원방안은 ▲유연근무제 관련 근로기준법 개선(33.7%)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다. 이어서 ▲유연근무제 인프라 구축비 지원(26.8%) ▲신산업 일자리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세제지원(14.1%) ▲쟁의행위 시 대체근로 허용 등 노사균형을 위한 노조법 개선(13.2%) ▲정부·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 선도적 참여(9.8%) 등을 지적했다. 

대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는 ▲재택·원격근무제(26.7%) ▲시차출퇴근제(19.0%) ▲탄력적 근로시간제(18.3%) ▲선택적 근로시간제(15.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8.1%) ▲시간선택제(6.2%) 순이었다.
대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는 ▲재택·원격근무제(26.7%) ▲시차출퇴근제(19.0%) ▲탄력적 근로시간제(18.3%) ▲선택적 근로시간제(15.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8.1%) ▲시간선택제(6.2%) 순이었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