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제품이 군·경 활동복으로 사용된다.  국방부와 경찰청, 섬유산업연합회와 지난 15일 투명페트병으로 만든 기능성 의류를 시범 구매하는 자원순환 서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국방부는 1만 벌, 경찰청은 2000 벌의 국내 페트병 재활용 의류를 구매하기로 약속했다.

환경부는 페트병 재활용을 위한 정책 지원에 나서며, 섬유산업연합회는 국방부와 경찰청이 시범 구매할 1만2000여 벌의 투명 페트병 재활용 의류 제작을 담당한다.

블랙야크, 아모레퍼시픽, 코오롱, 플리츠마마 등이 환경부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의류, 가방, 신발 등 재활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 위) 모델들이 페트병으로 만든 군인·경찰용 활동복을 소개하고 있다(사진 아래). 사진=블랙야크작년
블랙야크, 아모레퍼시픽, 코오롱, 플리츠마마 등이 환경부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의류, 가방, 신발 등 재활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사진 위) 자료=환경부. 모델들이 페트병으로 만든 군인·경찰용 활동복을 소개하고 있다(사진 아래). 사진=블랙야크

이번에 군인과 경찰이 입을 예정인 투명페트병 기능성 옷은 여름용 및 겨울용 운동복 1만 벌, 간이근무복 600백 벌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됐다. 가격은 상·하의 한 벌에 3만 5000 원 내외로 총 4억 1000만 원에 이른다.

환경부에 따르면 일반 티셔츠 한 벌을 만드는데 500ml 투명페트병 12명이 들어간다. 2L 투명페트병은 5병이 필요하다. 긴소매 기능성 자켓을 만들기 위해선 500ml 투명페트병 32병을 써야 한다.

이날 서약식과 함께 국내 페트병을 활용한 제품 전시회도 열렸다.

전시회는 배출부터 제품화까지 투명페트병의 재활용 전 과정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페트병, 재생원료, 원사 등을 전시했다. 노스페이스, 블랙야크, 플리츠마마 등 기능성 의류업체는 국내 페트병을 활용해 만든 의류, 가방, 신발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페트병 재활용의류 제조 공정
페트병 재활용의류 제조 공정
국방부· 경찰청 구매의류 시제품. 사진=환경부
국방부· 경찰청 구매의류 시제품. 사진=환경부

혁신제품 설명회도 개최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주관으로 열린 설명회에서 폐비닐을 재활용해 만든 가로수보호판, 재생기와 등 혁신제품 후보 재활용제품을 비롯해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지침, 혁신제품 신청 방법 등이 안내됐다.

현재 국내 페트병 분리 배출 비율은 약 80%지만 순도 문제로 의류용 장섬유로 재활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 때문에 국내 시장의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제품 대부분은 일본, 대만 등에서 수입한 'rPET 재생섬유'로 만든다.

환경부는 앞으로 공공기관의 재활용제품 구매를 확대하기 위해 재생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등록하고, 지자체가 재생원료 사용제품을 구매토록 의무화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의 토대가 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은 지난해 12월 25일부터 전국 공공주택(아파트)에서 시작했으며, 현재 전국 각지의 선별업체에 투명페트병의 반입량이 증가하고, 혼합배출이 줄어드는 등 점차 정착되는 추세다.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서 최근 조사한 15개 수거·선별업체(전국 점유율 24%) 표본조사 결과, 투명페트병 별도 수거량이 제도 시행 첫 주(12월 25~31일) 126톤 대비 최근 1주간(2월 17~25일) 221톤으로 약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전국 세대수 상위 10개 공동주택 1000개 단지(170만 세대, 전국 대비 16%) 현장점검 결과(1월 7일~2월 10일),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함이 모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점차 정착됨에 따라 고품질로 재활용할 수 있는 국내 재생원료 생산도 확대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