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롯데정밀화학·포스코 등 그린 암모니아 해상운송 컨소시엄 협약


HMM, 롯데정밀화학, 롯데글로벌로지스, 포스코, 한국선급, 한국조선해양 등 총 6개 기관은 25일 친환경 선박-해운시장 선도를 위한 그린 암모니아 해상운송 및 벙커링(선박 연료로 주입) 컨소시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 잠실 시그니엘 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HMM 최종철 해사총괄, 롯데정밀화학 정경문 대표이사, 롯데글로벌로지스 박찬복 대표이사, 포스코 유병옥 부사장, 한국선급 이형철 회장, 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미래기술연구원장이 참석했다.

암모니아는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에 있어 그린 수소 캐리어 및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물질로, 이번 협약을 통해, 각 사는 보유하고 있는 암모니아 생산, 유통 인프라와 조선-해운 산업에서의 전문 역량을 공유하고 향후 급격한 성장이 전망되는 그린 암모니아 시장에 대한 공동의 노력을 다짐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는 한국조선해양에서 암모니아 추진선을 개발, 이를 한국선급이 인증을 진행하고, HMM과 롯데글로벌로지스에서 선박을 운영하며 포스코가 해외에서 생산한 그린 암모니아를 롯데정밀화학이 운송/저장해 벙커링 하는 계획이다.

국제해사기구(IMO)가 발표한 정책에 따르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50%로 감축돼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화석 연료 기반의 선박 연료는 점차 암모니아 수소 등 친환경 선박연료로 대체 될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 18일 공개한 ‘2050 탄소제로 로드맵’ 보고서에 따르면 암모니아는 2050년 선박 연료 수요의 4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선박연료 시장규모와 암모니아 가격으로 단순 환산 할 경우 약 100조원 규모다.

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이미 유럽 중심 컨소시엄과 싱가폴 중심의 ‘다국적’ 컨소시엄들이 만들어져 관련 표준과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한 국가’ 내 글로벌 수준의 기업들이 그린 암모니아 생산-유통과 선박개발 및 운영 등 전 밸류체인을 포괄하는 컨소시엄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다.

롯데정밀화학은 국내 최대의 암모니아 저장시설을 갖추고, 국내 유통량의 약 70%를 담당하고 있으며, 단일 회사의 구매규모로는 세계 3위 수준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12월과 올해 3월, 호주에서 생산한 그린수소를 암모니아로 전환 후 국내로 들여오는 수소 사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계속해서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해 그린 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선언하고 지난해 7월 영국 로이드 선급으로부터 암모니아 추진선에 대한 기본인증서를 획득하는 등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들은 새로운 에너지 트렌드에 맞춰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5일 서울 잠실 시그니엘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6개 기관 대표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HMM 최종철 해사총괄, 한국선급 이형철 회장, 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미래기술연구원장, 롯데정밀화학 정경문 대표, 포스코 유병옥 부사장, 롯데글로벌로지스 박찬복 대표
25일 서울 잠실 시그니엘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6개 기관 대표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HMM 최종철 해사총괄, 한국선급 이형철 회장, 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미래기술연구원장, 롯데정밀화학 정경문 대표, 포스코 유병옥 부사장, 롯데글로벌로지스 박찬복 대표

SK종합화학, 전세계 석유화학 업계 최초로 유엔(UN) 우수사례 국제환경인증 ‘GRP’최우수등급(AAA) 획득

SK종합화학은 글로벌 석유화학업계 최초로 유엔 우수사례 선정 국제환경 인증인 GRP(기후변화 대응 및 플라스틱 저감 국제기준)에서 폐플라스틱 저감 활동 등의 친환경 성과를 인정받아 최우수 등급(AAA)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GRP는 플라스틱 저감 및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 조성을 위한 글로벌 기후 대응 가이드 라인으로, 유엔이 우수사례(Best Practices in Mainstreaming SDGs)로 선정한 국제 친환경 인증제도다. 

이 인증제도는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 협회가 기후변화대응, 플라스틱 저감, 해양생태계 보호 등 지구 환경문제에 대한 30개 주요 배경과 39개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평가해 매년 5월 발표한다. 평가 분야는 ▲인프라 산업(석유·화학, 에너지, 건설·플랜트) ▲패션·의류 ▲유통·물류 ▲식품·음료 ▲뷰티·화장품 ▲프랜차이즈 식품·관광시설 등 6개 산업군이고, 등급은 최우수인 AAA부터 AA+, AA, AA- 단계로 구성돼 있다. 

올해 GRP인증에는 전세계에서 총 570여 개 기업이 참가, 이 중 21개 기업만이 AAA, AA+, AA, AA- 인증 등급을 획득했다. SK종합화학은 이중 석유·화학 분야에서 산업별로 친환경 실천이 가장 우수한 기업 한 곳에만 부여되는 최우수 등급 기업으로 선정됐다.

SK종합화학은 이번 최우수 등급 선정에 대해 회사가 총력을 다해 추진하고 있는 기술 기반 그린(Green) 비즈니스 전환을 통한 친환경성이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종합화학은 폐플라스틱을 열로 분해해 플라스틱의 원료인 납사로 재탄생 시키는 열분해유 제조기술을 개발해 진정한 의미의 플라스틱 선순환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재활용이 용이한 단일소재(One Material) 패키징, 썩는 플라스틱인 생분해 플라스틱 PBAT(Polybuthylene adipate-co-terephthalate) 등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기술과 제품들을 개발해왔다. 

SK종합화학은 또 ‘친환경 패키징 포럼’을 개최해 산업 생태계 전 과정에 이르는 기업들과 지속가능한 패키징을 위한 협업 방안을 논의하는 등 폐플라스틱을 최소화하는 생태계 구축을 선도해왔다.

이와 함께 SK종합화학은 생산 단계에서도 친환경이 되어야 한다는 방침아래 울산CLX 내 주요 생산설비의 온실가스, 대기오염물질, 폐기물 등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활동을 적극 추진해 온 점도 인정 받았다. 

GRP 인증 기업들은 기후변화대응, 플라스틱 저감, 해양보호 등 3개 분야의 파트너 기업으로서 인증 로고를 부여 받는다. SK종합화학은 최우수등급 획득을 받음으로써, 향후 세계 최대 ESG 국제공시기준 제정 기구인 지속가능 회계 표준 위원회 (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의 ESG 국제공시기준에 환경분야 모범사례로 소개될 전망이다. 

SK종합화학이 25일 서울 종로구 소재 서린사옥에서 유엔(UN) 우수사례 국제환경인증 ‘GRP’최우수등급(AAA)을 수상했다. UN SDGs 협회 김정훈 사무대표(사진 왼쪽)와 SK종합화학 나경수 사장. 사진=SK종합화학
SK종합화학이 25일 유엔(UN) 우수사례 국제환경인증 ‘GRP’최우수등급(AAA)을 수상했다. UN SDGs 협회 김정훈 사무대표(사진 왼쪽)와 SK종합화학 나경수 사장. 사진=SK종합화학

CJ대한통운 ESG경영 UN도 인정…국제 친환경 인증 최우수등급 획득

CJ대한통운의 ESG경영 실천 노력이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 받으며, 물류기업 중 유일하게 국제환경인증 ‘GRP’ 최우수등급을 받았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이 높은 평가를 받아 지난 해 보다 두 계단 높아진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CJ대한통운은 25일 UN 우수사례 국제 친환경 인증인 ‘GRP(Guidelines for Reducing Plastic Waste & Sustainable Ocean and Climate Action Acceleration)’에서 물류기업 최초 최우수등급(AAA)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올해 최우수등급으로 선정된 기업은 국내외 총 12개사로 평가 대상이 된 57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 중 상위 2%에 해당한다.

GRP는 플라스틱 저감 및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조성을 위한 글로벌 기후대응 가이드라인으로, 유엔이 우수사례(Best Practices in Mainstreaming SDGs)로 선정한 국제 친환경 인증제도다. 기후변화대응, 플라스틱 저감, 해양생태계 보호 등 지구 환경문제에 대한 30개 주요 이슈와 39개 글로벌 가이드라인(지표)을 통해 UN SDGs 협회가 매년 5월 발표한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우수등급(AA)을 받은 데 이어 1년 만에 두 계단 상승해 최고 등급인 최우수등급(AAA)을 인증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탄소 및 플라스틱을 저감하는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이 바탕이 됐다는 평가다. CJ대한통운은 지난 3월 민간 기업 최초로 폐페트병을 업사이클링한 원사로 제작된 친환경 ‘ECO+ 유니폼’을 실제 현장 유니폼으로 상용화했다. 4월에는 폐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친환경 재생 파렛트 ‘탄소ZERO 파렛트’를 자사 물류센터에 도입했다. 향후에도 현장에 필요한 물품들을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GRP 인증은 각 기업의 성과에 따라 AAA, AA+, AA, AA- 등 4개 등급으로 세분화해 부여한다.

CJ대한통운 직원이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통해 제작한 ‘ECO+ 유니폼’을 입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 직원이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통해 제작한 ‘ECO+ 유니폼’을 입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