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 1936년 “조광(朝光)”지에 발표. 한국 현대 단편소설의 대표작의 하나로 평가되는 작품

69. 이효석 문학관, 강원도 봉평

사진;  최영규
책상에 앉아 집필중인 가산 이효석 동상.  사진=최영규 

 

이효석 (李孝石)은 작가, 언론인, 수필가, 시인이다. 한때 숭실전문학교의 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호는 가산 (可山)이며, 강원도  평창 (平昌) 출생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단편소설 작가이다.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사진;  최영규
사진=최영규

 

메밀꽃 필 무렵, 간략한 내용

어느 여름 낮 봉평 장터에서 허 생원은 충줏집과 농탕치는 동이를 보고 야단친다. 속이 많이 상했지만 동이는 허 생원에게 나귀 일을 알려 주고 둘은 화해한다. 허 생원, 조 선달, 동이는 대화 장 가는 길에 동행하며 메밀꽃 핀 달밤을 걷는다그 길에서 허 생원은 성 서방네 처녀와의 추억을 이야기해 준다. 동이 또한 자신의 어머니 이야기를 하고 허 생원은 동이에게 남다른 감정을 느끼는데……

허생원은 대화장으로 이동하며 일행에게 젊은 날의 추억 하나를 들려준다. 강원도 봉평의 한 객줏집(나그네들에게 음식을 팔고 잘 곳을 제공하던 집)에서 성서방네 처녀를 만나 하룻밤을 함께 지낸 일이다. 허생원과 하룻밤을 지낸 성서방네 처녀는 다음날 충북 제천으로 떠나버렸고, 허생원은 그녀를 찾으러 제천 장에도 들렀으나 그녀를 찾지 못했다그 날 이후 허생원은 성서방네 처녀와의 추억이 깃든 봉평장만큼은 빠지지 않고 들르게 되었다.

 

동이가 홀어머니 밑에서 컸다는 것을 알게 되다.

허생원은 그 날의 추억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동이와도 대화를 한다. 그 과정에서 동이가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동이의 어머니는 충북 제천에서 홀로 아이를 낳고 친정집에서 쫓겨나 동이를 키웠다는 사연을 듣는다. 또한 동이에게서 어머니의 친정을 봉평으로 알고 있다는 말도 듣게 된다.그런 이야기 끝에 허 생원은 동이가 편모만 모시고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발을 헛디딘 그는 나귀 등에서 떨어져 물에 빠지고 그걸 동이가 부축해서 업어 준다. 허 생원은 마음에 짐작되는 데가 있어 동이에게 물어 본다. 그 어머니의 고향 역시 봉평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어둠 속에서도 동이가 자기처럼 왼손잡이임을 눈여겨 본다.

 

자료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메밀꽃 필 무렵 (두산백과)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