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안동, 도산서원

 

경상북도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은 퇴계 이황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9695월 사적 제170호에 지정되고, 2019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문화재청은 20181월 이곳 안동 도산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대표서원 9곳을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신청하여, 2019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 서원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선생을 향사(享祀)하는 도산서원이다. 선생은 1561(명종 16)에 도산서당을 건립하고 학문연구와 인격을 도야하였는데, 선생이 타계하자 문인들의 발의에 의해 서당이 있던 자리에 서원을 건립키로 하였다. 1572(선조 5)에는 선생의 위패를 상덕사에 모실 것을 결정하였으며 1574년부터 서원을 짓기 시작하여 1576년에 완공하였다. 선조는 도산서원이란 현판을 사액하였는데 그 편액은 당시의 제1인자라고 손꼽히던 명필 한호[(韓濩), 본관은 삼화(三和).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청사(淸沙). 군수대기(大基)5대 손으로, 정랑세관(世寬)의 손자]의 글씨이다. 도산서원은 경주 옥산서원과 함께 한국의 양대 서원으로 꼽힌다.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되어, 1977년 관리사무소가 설치되고 오늘날에 이르렀다. 1975년부터 2007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발행된 1,000원 지폐 뒷면의 디자인 소재로도 사용되었다.

 

퇴계  이황 동상,  남산공원 .   사진=  위키페디아에서
퇴계 이황 동상, 남산공원 .                                                        사진= 위키페디아

 

 

 

광명당.   요즈음의 도서관을 의미하며 책들을 보관했던 곳으로 건물은 바람이 잘 통하도록 설계하였다.    사진=   최영규
광명당. 요즈음의 도서관을 의미하며 책들을 보관했던 곳으로 건물은 바람이 잘 통하도록 설계했다.  사진= 최영규

 

 

전교당.  도산서원의 중심부로 퇴계선생께서 제자들에게 강의하시던 곳이다.    보물 제210호유생들의 자기 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기 위한 강당이다. 전교당의 맢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 1574년(선조 7년)에 지었고, 1969년에 수리를 하였다. 팔작지붕과 온돌방,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이 선조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해진다.사진=  최영규
전교당(보물 제 210호). 도산서원의 중심부로 퇴계선생께서 제자들에게 강의하시던 곳이다. 유생들의 자기 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기 위한 강당이다. 전교당의 맢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 1574년(선조 7년)에 지었고, 1969년에 수리를 하였다. 팔작지붕과 온돌방,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이 선조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해진다.                                                                                                          사진= 최영규

 

 

도산서원 현판이 있는 건물.   한석봉선생의 글씨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사진=   최영규
도산서원 현판이 있는 건물. 한석봉선생의 글씨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사진= 최영규

 

 

시사단.      시사단은 조선시대 특별 과거시험을 보았던 자리를 기념하기위해 세운 비석과 비각이 있는 곳이다. ‘시사’란 선비에게 시험을 보인다는 뜻이다. 1792년 정조는 평소 존경하던 퇴계를 추모하기위해 이곳에서 과거시험을 열고 영남지역의 인재를 선발하도록 하였다. 안동댐이 수몰되기 전에는 도산서원이 마주보이는 강변의 소나무가 우거진 곳에 비각이 세워져 있었다. 1975년 안동댐 건설이후 원래 있던 자리에 10m 높이의 돌로 축대를 쌓아 올린뒤 예 건물과 비석을 원형대로 옮겨지었다.       사진=   최영규
시사단. 시사단은 조선시대 특별 과거시험을 보았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과 비각이 있는 곳이다. ‘시사’란 선비에게 시험을 보인다는 뜻이다. 1792년 정조는 평소 존경하던 퇴계를 추모하기 위해 이곳에서 과거시험을 열고 영남지역의 인재를 선발하도록 하였다. 안동댐이 수몰되기 전에는 도산서원이 마주보이는 강변의 소나무가 우거진 곳에 비각이 세워져 있었다. 1975년 안동댐 건설이후 원래 있던 자리에 10m 높이의 돌로 축대를 쌓아 올린뒤 옛 건물과 비석을 원형대로 옮겨지었다.                                                                                        사진= 최영규

 

 

역락서재.     역락서재는 농운정사와 같이 도산서당의 기숙사이다. 1561년 정사성이 퇴계의 제자가 될 때 정사성의 아버지 정 두가 제자들과 협력하여 지었다한다. 현판의 글씨는 퇴계가 직접 쓴 것이다.    사진=   최영규
역락서재. 역락서재는 농운정사와 같이 도산서당의 기숙사이다. 1561년 정사성이 퇴계의 제자가 될 때 정사성의 아버지 정 두가 제자들과 협력하여 지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퇴계가 직접 쓴 것이다.                                                                                     사진= 최영규

 

 

-퇴계선생이 남긴 교육에 대한 말씀-

1. 몰라서 실천하지 못하는 것은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다.

2. 배우는 사람의 공부 가운데 심신을 닦는 것보다 절실한 것은 없다.

3. 진리가 가까이 있는데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4. 알면서 실천하지 않는 것은 참된 일이 아니다.

5. 빼앗을 수 없는 뜻과, 꺾이지 않는 기상과 흐리지 않을 앎을 늘 지니도록 하라.

 

또 하나 이곳을 방문하는 경우에 추천할 곳은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로 도산서원 양편 산기슭에 있는 절벽으로, 퇴계가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몸과 마음을 수양하기 위해 산책하던 곳이다. 퇴계는 서쪽 절벽을 천광운영대, 동쪽 절벽을 천연대라고 불렀다. 천광운영대는 주자가 지은 관서유감이란 시에 나오는 하늘의 빛과 구름의 그림자가 함께 감도는구나라는 구절에서 이름을 지었다고 하고, 천연대는 시경에 나오는 솔개는 하늘 높이 나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노네라는 구절에서 하늘 천과 연못 연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이 두 개의 이름에서 주변의 절경과, 퇴계가 말년에 이곳에서 자연의 이치를 벗삼아 학문을 성취하려던 뜻을 담고 있다.

 

도산서원 입구의 단풍이 아름답다. 사진=   최영규
도산서원 입구의 단풍이 아름답다.                                                        사진= 최영규

 

 

1,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 원 지폐 가운데 하나로 1,000원 지폐 앞면에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인 이황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사진=  한국조폐공사에서.
1,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 원 지폐 가운데 하나로 1,000원 지폐 앞면에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인 이황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사진= 한국조폐공사

 

 

자료 출처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8F%99_%EB%8F%84%EC%82%B0%EC%84%9C%EC%9B%90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hhan3472/222243871840

안동관광

http://www.tourandong.com/public/sub1/sub1_2.cshtml?seq=55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2065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