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pixabay]
[사진=pixabay]

60세 이상 고령층이 빚을 갚기 위해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처분하고, 자산축적연령인구(35∼59세)가 부동산을 사지 않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결국에는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보고한 '2015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부머 세대 등이 은퇴 이후 금융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적극 나설 경우 3~4년 후 부동산 시장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디레버리징은 주로 부동산을 통해 나타난다. 주로 대형주택을 처분해 금융부채를 상환하고 소형주택으로 옮기는 경우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50대와 60대의 실물자산 비율은 각각 74.1%, 82.4%로 큰 비중을 차지한데다 한계가구의 비중 역시 13.7%, 18.6%로 집계됐다.

현재 우리나라 55~74세 가구의 실물자산 비중이 약 80%로 미국을 크게 상회할 뿐 아니라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2~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55~74세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경우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85~115%이어서 금융부채 상환을 위해서는 실물자산을 처분할 수밖에 없는 가구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금융부채를 보유한 60대 이상 고령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00%를 넘는다. 쓸 수 있는 돈보다 빚이 2배나 많다는 얘기다. 실제 전날 발표된 한은과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2010∼2014년 동안 가계는 자녀의 출가 직후인 65∼70세에 금융부채를 가장 많이 축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부동산의 핵심 수요층인 '자산축적연령인구'(35∼59세)는 2018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가구가 빚을 갚기 위해 부동산을 처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상대적으로 수요층이 집을 사지 않는다면 결국 수요 부족으로 집값 하락이 불가피하는 것이다.

한은은 이에 따라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제도를 활성화하고 고령 가구로부터 주택을 매입해 임대하는 산업 기반을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한은은 인구 고령화의 가계부채 영향은 향후 3~4년 후부터 점차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여 부동산시장의 충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고령화 이슈는 단기 대응이 어려운 만큼 가계부채 관리 지속, 부동산 금융 활성화, 고령층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