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4% 오르며 3개월 만에 3%대에 재진입했다. 상승폭은 지난 4월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폭염·폭우 등의 영향으로 과일값이 큰 폭으로 올랐고,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하락폭이 둔화된 것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100)으로 1년 전보다 3.4% 올랐다. 이는 지난 4월(3.7%) 이후 4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8월(5.7%)부터 올해 1월(5.2%)까지 5%대를 이어갔다. 이후 ▲ 2월 4.8% ▲ 3월 4.2% ▲ 4월 3.7% ▲ 5월 3.3%로 둔화했다가 ▲ 6월(2.7%) ▲ 7월(2.3%) 부터는 상승률이 2%대로 축소됐었다.

농산물은 1년 전보다 5.4% 올라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과실 물가가 1년 전보다 13.1%나 상승했다. 지난해 1월(13.6%)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품목별로는 사과(30.5%), 복숭아(23.8%)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채소류는 작년 폭염에 따른 높은 물가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1% 하락했다. 다만 전달과 비교하면 16.5% 올랐다.

석유류는 11.0% 하락했다. 7월까지 계속된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25.9%)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전기·가스·수도는 21.1% 상승하며 전달과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9% 상승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전달과 마찬가지로 3.3% 상승했다.

8월 소비자물가가 폭염·폭우 등영향으로 과일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석유류 물가도 작년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주된 원인이 됐다.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전달(2.3%)과 비교해 1.1%포인트(p) 껑충 뛰었다. 2000년 9월(1.1%p) 이후 최대폭이다.
8월 소비자물가가 폭염·폭우 등영향으로 과일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석유류 물가도 작년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주된 원인이 됐다.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전달(2.3%)과 비교해 1.1%포인트(p) 껑충 뛰었다. 2000년 9월(1.1%p) 이후 최대폭이다.

■ 국제유가, 7거래일 연속 상승 '연중 최고치'

국제유가가 최근 7거래일 연속 상승해 장중 86달러를 돌파하며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중국의 원유 수요 둔화가 예상되며 안정세를 찾아가던 국제 유가가 다시 반등하며 휘발유와 경유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플러스(OPEC+)가 자발적 감산을 연장할 것이라는 전망에 공급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전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이 장중 배럴당 86.06달러까지 치솟으면서 올해 들어 최고가를 경신했다.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우디를 비롯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들로 이뤄진 OPEC+가 감산을 연장하기로 결정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공급 요인이 유가 상승세를 부추기고 있다. 

특히 사우디의 감산이 연말 또는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사우디의 자발적 감산이 연말까지 연장될 경우 국제유가는 90달러대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중국의 원유 수요가 둔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원유시장의 수급 및 재고 불안으로 유가가 추가로 상승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중심으로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산유국 협의체가 자발적 감산을 연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상승세를 이어갔다. 4일(이하 현지시간)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물 브렌트유는 전 거래일 대비 배럴당 0.45달러(0.51%) 오른 89.0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시장은 노동절을 맞아 휴장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기대감 등이 유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중심으로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산유국 협의체가 자발적 감산을 연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상승세를 이어갔다. 4일(이하 현지시간)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물 브렌트유는 전 거래일 대비 배럴당 0.45달러(0.51%) 오른 89.0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시장은 노동절을 맞아 휴장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기대감 등이 유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 사과· 배 가격 ↑…명절 물가도 부담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급증하는 사과와 배의 가격이 치솟으며 명절 물가도 부담이다. 

현재 사과와 배 가격은 1년 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사과(홍로·상품) 도매가격은 10㎏에 8만4800원으로 1년 전 5만3025원보다 59.9% 높고, 평년의 5만1038원과 비교해 66.2% 상승했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18∼2022년 가격 중 최대·최소치를 제외한 3년 평균값이다. 배(원황·상품) 도매가격은 전날 15㎏에 5만6780원으로, 1년 전(4만4575원)과 비교해 27.4%, 평년(4만6855원)과 비교해 21.2% 비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월 농축산물 수급 상황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봄철 저온과 서리 피해가 발생한 사과, 배는 상품(上品)을 중심으로 가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석 성수품 공급을 확대하고 농축산물 할인 판매를 지원할 계획이다.

시금치와 얼갈이배추, 애호박, 토마토, 고추 등의 품목도 여름철 폭우 등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와 수요 증가로 향후 강보합세가 예상된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