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투리 땅이나 공간, 그리고 기존 제품을 잘 활용하면 '일석삼조'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려진 토지를 활용해 주차장을 지을 경우 도시경관 및 도로 혼잡 개선 외에 주차장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 건물내 비어있는 공간에 전시장이나 미니 가든을 설치할 경우 건물의 효용가치가 올라가고, 힐링공간 및 문화시설이 새로 생기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중고 제품을 재활용하는 것은 지구 생태계 보존을 물론 자원순환 및 순환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준다. <편집자 주>

■ 현대제철, 부산물 재활용 위해 건설업계와 맞손

현대제철이 건설업계와 손잡고 제철 부산물 재활용 확대에 나섰다.

현대제철은 지난 14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국콘크리트학회 산하 슬래그콘크리트위원회와 공동으로 '제철 부산물 활용 저탄소 건설재료화 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제철 부산물 재활용에 대한 기술 현황을 소개하고 기업들이 재활용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실제로 제철 부산물을 건설재료로 활용하고 있는 건설사 관계자를 비롯해, 주요 학술기관과 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현대제철 김형진 공정연구센터장은 환영사를 통해 "건설용 골재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는 반면 천연 골재는 점점 고갈되고 있다"라며 "제철 부산물을 건설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순환과 탄소중립 경영을 위한 필수 요소로서,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에서는 현대제철을 비롯해 한국세라믹기술원, 포스코건설, 도로교통연구원, 공주대학교, 현대건설 등 6개 기관이 각각 슬래그 재활용 확대를 위한 기술 현황 등에 대해 발표했다.

제철소를 운영하는 현대제철은 국내 슬래그 발생 및 재활용 현황과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 전환 기술에 따른 슬래그 변화 예측에 대해 발표했으며, 건설사는 슬래그를 재활용한 시멘트 대체 기술을 비롯해 실제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주제 발표 이후에는 한국교통대학교 이건철 교수가 좌장을 맡아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 다각화 및 탄소중립 효과 재고 등에 대한 종합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제철 부산물 활용 저탄소 건설재료화 기술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현대제철 조종오 팀장, 한국세라믹기술원 추용식 박사, 현대제철 이상형 팀장, 공주대 김진만 교수, 현대제철 김형진 상무, 한국교통대 이건철 교수, 도로교통연구원 김홍삼 박사, 현대건설 나옥빈 책임연구원, 포스코건설 이창홍 리더. 사진=현대제철
제철 부산물 활용 저탄소 건설재료화 기술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현대제철 조종오 팀장, 한국세라믹기술원 추용식 박사, 현대제철 이상형 팀장, 공주대 김진만 교수, 현대제철 김형진 상무, 한국교통대 이건철 교수, 도로교통연구원 김홍삼 박사, 현대건설 나옥빈 책임연구원, 포스코건설 이창홍 리더. 사진=현대제철

■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 “재활용 소재 글로벌 1위 기업 향해 나아갈 것”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이 글로벌 기후위기, 폐플라스틱 문제 등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세상 속에서 ‘지구를 생각하는’ 재활용 분야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나 사장은 최근 SK이노베이션 계열의 공식 보도채널 스키노뉴스(SKinno News)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SK지오센트릭은 세계 최고의 리사이클링 소재 기업(Global No.1 Recycling Material Company)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만큼 더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석유가 아닌 재활용 소재 등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기업(Solution Provider)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SK지오센트릭은 오는 2025년까지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 단지인 울산 ARC(Advacned Recycle Cluster)를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SK울산콤플렉스(CLX) 내 21만 5천㎡ 부지(약 6만 5천평, 축구장 22개 크기)에 연간 약 25만 톤에 달하는 폐플라스틱의 처리가 가능한 공장을 설립하는 계획에 맞춰 부지 정지작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나 사장은 “2025년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본격화되는 해”라며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 재활용 플라스틱을 섞어서 만들어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는데 고품질의 재활용 플라스틱 공급은 현저하게 적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 사장은 “SK지오센트릭의 파트너사들은 올해부터 상용화 공장을 통해 고품질의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해낼 것”이라며 “2025년에 가동할 울산 ARC와 동일한 품질의 재생 플라스틱을 고객들에게 먼저 선보여 계약을 맺는 등 선제적인 고객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 ARC 투자 자금 조달과 관련해선 “작년 화학산업은 유가, 환율 및 중국 등 영향으로 안 좋았지만 올해는 세계적인 코로나 방역완화와 부양정책 등으로 작년 대비 성장성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고부가 화학 소재를 중심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 사장은 “시장에서도 ESG 경영에 대한 SK지오센트릭의 진정성과 가치를 알아봐주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며 작년 11월 국내 최초로 글로벌 인증기관 검증을 통해 4,750억원 규모로 조달에 성공한 ‘지속가능연계차입(SLL)’, 올해 2,000억원 규모로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한 수요예측에서 1조원이 넘는 주문을 받은 사례 등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마지막으로 나 사장은 “지난 2021년 회사명을 SK종합화학에서 SK지오센트릭으로 바꾼 후 ‘다들 아는 회사명을 두고 왜 바꿨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며 “지구 중심적(Geo Centric) 생각으로 비즈니스모델을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며 SK지오센트릭이라는 이름에 대해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회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이 지난 2021년 8월 ‘브랜드 뉴 데이(Brand New Day)’에 참가해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이 지난 2021년 8월 ‘브랜드 뉴 데이(Brand New Day)’에 참가해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2030년 60조원 전망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며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30년 6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5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포함) 폐차 대수는 2025년 56만대에서 2030년 411만대, 2035년 1천784만대, 2040년 4천277만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폐배터리 발생량은 2025년 44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338GWh, 2035년 1329GWh, 2040년 3339GWh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에서 발생한 폐배터리는 배터리 진단을 통해 전력저장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재조립해서 사용할지(재사용), 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을 추출할지(재활용) 결정된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돼 있고,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의대부분은 양극재 가격이 차지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양극재의 주요 광물인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의 경우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핵심 소재의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재활용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도 배터리 재활용이 필수적이다. 유럽의 경우 배터리 규제를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