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부의 정책 지원 등으로 안정세를 보이던 금융권 연체율 지표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 잔액이 1조원을 돌파했고, 인터넷 전문은행과 카드사, 저축은행의 연체율도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 전문은행 외에 카드사, 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이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금융권의 부실 위험은 물론 시중자금의 경색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또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연체 잔액은 지난해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상으로 소비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연체율 상승은 경기 활성화를 저해하는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거 사례를 보면 금리가 오를 때보다 금리 인상기가 끝날 무렵부터 잠재 부실이 터져나올 가능성이 높다며 이자상환 능력이 한계치에 다다른 '영끌족' 등 취약 대출자의 부실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작년 은행 연체율 일제히 상승…'건전성' 경고등

1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금융지원 등으로 최근 2~3년간 내림세였던 은행 연체율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상승하고 있다.  KB 신한 하나 우리 금융그룹 등 4대 금융지주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지주사계열 은행의 연체율은 전년 대비 0.03~ 0.04%포인트 올랐다.  2019~2021년 당시 내림세였던 연체율이 지난해 들어 상승 전환했다.

KB국민은행의 연체율은 1년 사이 0.12%에서 0.16%로, 신한은행은 0.19%에서 0.22%로 올랐다. 하나은행은 0.16%에서 0.20%로, 우리 은행은 0.19%에서 0.22%로 연체율이 올랐다.

■ 연체율 경고에 은행 역대급 충당금 

고금리로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해지면서 국내 주요 금융사가 대출 부실에 대비해 역대급 대손충당금을 쌓고 있다. 대손충당금은 대출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 등 다양한 손실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쌓아두는 비용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가 지난 한 해 새로 쌓은 대손충당금(순전입액)은 5조103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3조2509억원보다 약 57%(1조8524억원) 늘어났다. 코로나19 사태로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적립했던 2020년(4조1070억원)보다도 9963억원 많다. 

KB금융은 4대 금융사 중 가장 많은 1조8359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했다. 신한금융은 전년보다 31% 늘린 1조3057억원을 쌓았고 하나금융도 1조1135억원으로 전년보다 109% 확대했다. 우리금융은 전년에 비해 58% 늘린 8482억원을 마련했다. 4대 은행이 지난해 쌓은 대손충당금도 2조605억원으로 전년(1조1508억원) 대비 1.8배 증가했다.

■ 지난 4분기 우리카드 연체율 1.21%…직전 분기比 0.29%p

서민들의 자금 창구인 카드 업계의 연체율도 일제히 상승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직전분기와 비교해 모두 올랐다. 특히 이들 중 우리카드의 연체율은 지난 4분기 1.21%로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 신한카드(1.04%)와 하나카드(0.98%)와 KB국민카드(0.92%), 삼성카드(0.86%) 순으로 집계됐다.

연체율이 직전 분기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곳은 우리카드다. 우리카드의 지난 4분기 기준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0.29%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하나카드가 직전 분기 대비 0.21%p 올랐고, 삼성카드(0.20%p)와 신한카드(0.18%p), KB국민카드(0.14%p) 순으로 연체율이 증가했다.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며 부실 위험을 낮추고 있다. 지난해 신한카드는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5602억원으로 2021년(4429억원) 대비 26.5% 늘렸다.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도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7% 가량 늘리며 각각 6322억, 5004억원을 확보했다.

카드사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여파로 인해 올해도 주요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우상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카드사들은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확보해 부실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인터넷 전문은행, 연체율 상승세 '뚜렷'

중저신용 대출 비중이 높은 인터넷 전문은행에서도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하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0.49%로, 전년 대비 0.27%포인트 올랐다.

부동산 PF 부실 우려도 계속되고 있다.  윤창현 국민의 힘 의 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전 금융권(카드사 제외)의 부동산 PF 대출연체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1조 1465억원으로, 2021년 말(4838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 잔액이 363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체율도 8.2%로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 잔액이 약 3000억원, 캐피털 2902억원, 보험 1767억원, 은행 115억원 순이었다.

보험사의 PF 대출 연체잔액도 1767억 원으로 적지 않았지만, 대출 잔액 규모가 금융권에서 가장 큰 45조 원대인 만큼 연체율은 0.39%로 나타났다. 은행의 연체 잔액은 115억 원, 연체율은 0.03%였고 상호금융은 각각 43억 원, 0.09%로 집계됐다.

■ 소형 저축은행들 경영 상황 급격히 나빠져

소형 저축은행들의 경영 상황이 급격히 나빠지고 있다. 기존 대출의 연체율이 빠르게 치솟는 것은 물론 예·적금을 통한 신규 자금 조달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작년 3분기 말 기준으로 총자산 규모가 3000억을 밑도는 18개 업체의 연체율은 4.6%로 업계 평균(3.0%)을 크게 웃돌았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5.0%로 업계 평균(3.5%)보다 1.5%포인트 높았다. 고정이하여신은 회수 가능성이 극히 낮은 악성 부채를 뜻한다.

자산 축소 현상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18곳 중 14곳의 자산 규모가 일제히 직전분기보다 줄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 총자산이 133조3710억원에서 136조4869억원으로 3조원 이상 늘어난 것과 대비된다. 

 


 

저작권자 © 자투리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